티스토리 뷰

스티로폼의 발명은 인류에게 편리함과 환경쓰레기라는 양날의 검과 같은 존재로 다가왔습니다. 오늘날 여러 곳에서 스티로폼이 사용됩니다. 그런데 스티로폼은 잘 썩지가 않습니다. 이런 까닭으로 국가적으로나 전지구적으로 스티로폼으로 골머리를 앓게 되었습니다.


요즘 생활 곳곳에서 스티로롬이 너무나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령 할인점이나 마트, 슈퍼마켓 백화점 등에서 물건을 구입해 오거나 택배로 물건을 받을 때 종종 파손방지를 위해 스티로폼으로 매매 싸서 보냅니다. 






스티로폼은 내용물을 파손을 방지해주고 무게도 적게 나가 사람들 사이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는 존재이자 무척이나 고마운 역할을 해줍니다. 하지만 사용하고 난 뒤가 문제입니다. 이를 버리거나 없애려면 여간 불편하지 않습니다. 


스티로폼은 잘 썩지도 않고 태우면 환경을 오염시키는 나쁜 물질이 방출됩니다. 이런 이유로 전 세계적으로 스티로폼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스티로폼 플라스틱 분리수거 및 스티로폼 버리기 스티로폼 재활용 방법 등에 관해 알아보려 합니다. 


스티로폼 플라스틱 분리수거 및 버리기 재활용 놀라운 꿀팁


스티로폼은 분리수거가 가능해요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은 아마도 스티로폼을 분리수거해서 버린 기억이 있을것입니다.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수거 업체를 따로 정하고, 한꺼번에 재활용품을 가져가기 때문에 스티로폼 또한 수거를 해가게 됩니다. 현행법상으로는 스티로폼은 재활용하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어떤 업체들은 이를 수거하지 않기도 합니다.


 스티로폼은 재활용 대상

스티로폼은 재활용 대상입니다. 그래서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분들의 경우 요일별로 스티로폼을 배출하여 수거해 가기도 합니다. 하지만 요즘 많은 아파트에서 이 스티로폼을 분리수거 배출을 하지 않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재활용 업체에서 유가 상승 등의 이유로 이해타산이 맞지 않아서라고 합니다.


스티로폼은 재활용 대상이기 때문에 스티로폼 분리수거 한 다음에 배출해야 합니다. 전국의 지자체별로 요일별로 배출 쓰레기가 나뉘어져 있습니다. 스티로폼은 재활용 쓰레기를 버리는 요일에 스티로폼을 같이 배출하면 됩니다.


스티로폼 플라스틱 분리수거 및 버리기 재활용 놀라운 꿀팁


스티로폼 버릴때 주의사항

스티로폼을 버릴 때에는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우선 깨끗한 상태의 스티로폼만 수거해간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스티로폼에 스티커나 이물질 등이 묻어있으면 수거를 해가지 않습니다.


스티로폼은 재활용 대상인데다가 스티커나 이물질 등이 묻어있으면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가령 컵라면 용기를 예로 들자면 컵라면 용기의 경우 스티로폼이지만 라면국물이나 건더기 등이 남아있을 경우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이를 버려야 합니다.







재활용 쓰레기로 분류 안되면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

최근 국제 유가가 꾸준히 상승함에 따라서 스티로폼을 수거해가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만약 스티로폼을 재활용 쓰레기로 수거해가지 않는다면 잘게 부숴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배출하면 됩니다.


재활용 가능한 스티로폼만 분리배출 해야

스티로폼을 수거해 간다고 해도 모든 스티로폼을 배출해서는 결코 안 됩니다. 재활용 가능한 스티로폼만 분리배출하여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재활용 가능한 분리수거 스티로폼에는 스티커 등이 부착되거나 이물질이 묻지 않은 스티로폼으로 과일박스나 냉동박스 등만 가능합니다. 한마디로 깨끗한 스티로폼만 분리수거한 다음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스티로폼 플라스틱 분리수거 및 버리기 재활용 놀라운 꿀팁


재활용 분리수거 불가능한 스티로폼은?

재활용 분리수거를 하지 못하는 스티로폼도 있습니다. 색상이 들어간 코팅 스티로폼, 스티커와 테잎 등이 붙여진 스티로폼, 음식물이나 국물 자국이 있는 컵라면 요기나 배달음식 스티로폼 등입니다.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분리수거장 재활용품 모으는 곳에 이물질이 없는 스티로폼만 배출하면 됩니다. 만약 이물질이 묻었다면 재활용 분리수거가 불가능합니다. 이런 스티로폼은 잘게 부수어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려야 합니다.


일부 아파트의 경우 스티로폼만 받는 날이 따로 정해져 있습니다. 만약 따로 정해진 날이 없다면 재활용품 모으는 곳에 버리면 됩니다. 단독주택의 경우는 스티로폼만 수거해가는 날이 정해져 있으므로 관할 주민센터에 문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스티로폼 플라스틱 분리수거 및 버리기 재활용 놀라운 꿀팁


스티로폼 수거 왜 거부할까

재활용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업체들이 스티로폼 수거를 안하려는 이유는 그들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한 마디로 돈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돈이 되지 않는 것이라 이를 거부하는 것합니다. 


돈이 안되는 배경은 국제 유가가 하락해 스티로폼을 재활용하는 비용이 새로 만드는것보다 비용이 더 들어가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업체들은 스티로폼을 수거하는 것을 거부하게 된것입니다.


또한 스티로폼 분리수거를 할때에는 스티로폼에 붙은 스티커 등을 다 떼어야 하는데 이런 것을 위해 투입한 인건비보다는 재활용의 가치가 더 떨어졌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유가가 올라가고 있어 아마도 그동안 스티로폼을 받지 않았던 업체들도 다시 스티로폼을 받는 경우가 많아질 것입니다.


티로폼 재활용을 할 수 없다면 재활용 봉투에 담아 버려야

스티로폼을 받지 않는 업체가 있는 지역에 살고 있다면, 이를 재활용으로 분리수거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그러나 스티로폼은 비록 무게는 얼마 안되지만 부피가 크기 때문에 금방 쓰레기 재활용 봉투가 가득차 버립니다.


스티로폼을 배출할때는 원형 그대로 봉투에 넣지 마시고, 칼로 잘라서 배출을 하시는 것이 훨씬 더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마트에서 장을 볼때 스티로폼은 빼고 제품만 가지고 오는 등의 방법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스티로폼 플라스틱 분리수거 및 스티로폼 분리수거 스티로폼 버리기 스티로폼 재활용 등에 관해 알아봤습니다. 스티로폼 버리기는 흔히 잘 알고 있다고 착각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기회에 어떻게 배출하고 또 어떻게 재활용 되는지 평소 알아두면 좋습니다.  이상으로 스티로폼 분리수거 등에 관한 포스팅을 마칩니다.


댓글